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우리 몸의 면역력에 관하여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하지만 현대 사회는 운동부족, 불규칙한 식습관 및 생활습관과 영양부족으로 인해 우리 몸의 면역력이
파괴되어가고 있다.
가공식품이나 잦은 외식으로 인해 피로해지기 쉽고, 감기 등 질병에 잘 걸리게 되는 등 잠재적으로 결핍 증상이 나타난다.
비타민은 우리가 섭취한 음식을 에너지로 발생시킬 수 있도록 과정을 조절해 주며 여러 물질대사를 조절하여 성장, 활력과 건강을 유지하도록 해주는 없어서는 안되는 영양소이다.
하지만 자체적으로 비타민을 합성하지 못하므로 음식 등을 통해서 공급을 해야하지만 결핍을 피할 수 는 없다.
뼈나 세포를 튼튼하게 자라게 하며 상처를 아물게 하고 독소를 막고 청소해 주는 역할을 하지만 과잉이 될 경우 병을 일으키기도 하기 때문에 섭취에 주의해야한다.
이러한 우리 몸에 필요한 영양소인 비타민은 과일, 채소, 야채 및 생선 등에 풍부하게 있지만 먹는 걸로는 모두를 섭취할 수 없기 때문에 영양제를 이용할 수 밖에 없다.
이와 같이 필수영양소인 비타민 중 비타민 K에 대해 알아보자.
▶ 비타민 K란?
비타민 K (Vitamin K)는 지용성 비타민의 한 종류이다.
비타민 K는 사슬이 어떤 형태냐에 따라 필로퀴논(Phylloquinone : K1)과 메나퀴논(Menaquinone : K2)으로 나뉜다.
필로퀴논은 주로 식물에서 합성되고 메나퀴논은 박테리아에 의해 합성된다. 결핍시 골(뼈) 손실을 일으키거나 지혈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고, 출혈을 야기시키기도 한다.
하지만 과다섭취를 할 경우, 혈전을 일으키거나 할 수 있다는 말이기도 하다.
인체내의 장내 대장균의 일종이 합성해내는 것이다. 따라서 항생제의 장기간 사용 등으로 대장균이 파괴되지 않는 정상적인 상태면 따로 섭취할 필요성이 없는 비타민이다.
▶ 비타민 K의 주의점
비타민 K 결핍의 원인으로는 금식을 하는 환자에게 항생제를 투여할 경우 항생제로 인해 대장내 대장균이 억제되고, 금식 때문에 음식의 공급이 중단되면서 나타난다. 또한 만성췌장염,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과 같은 염증성 장 질환에서 지용성 비타민의 흡수 장애를 일으키기도 한다.
비타민 K 보충제를 투여하고, 과다 출혈이 발생할 경우 신선냉동혈장(FFP)을 투여해 응고인자를 보충해줌으로써 증상을 완화시킨다.
지용성 비타민은 몸에 축적되는 것이므로, 이외에 독성으로 용혈작용, 황달, 과빌리루빈혈증, 알러지, 고혈압, 심장통증 등이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 비타민 K의 유래
1939년 발견된 화합물인 비타민 K1은 식물에서 합성된다. 하지만 비타민 K2는 미생물의 기관에서 만들어지고, 포유류의 조직에서도 중요하게 발생한다. 비타민 K의 다른 형태들은 모두 체내에서 비타민 K2로 전환된다.
비타민 K2의 종류와 연관된 화합물의 종류가 많이 존재하는데, 천연화합물 외에도 비타민 K의 활성을 가진 많은 합성화합물(K4, K5, K6, K7)들은 의약품으로서 사용되며, 혈액 응고에 걸리는 시간을 줄이기 위한 작용을 한다.
▶ 비타민 K가 많은 음식
비타민 K가 많은 음식은 녹색채소 (양배추, 아스파라거스, 케일, 간, 녹차, 콩 등)가 있다.
항응고제를 먹는 사람은 비타민 K 섭취를 피해야한다.
그럼 이만 ~~~
'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니메론 점안액] 광범위 눈염증 치료제 (0) | 2021.11.09 |
---|---|
[유니텐 점안액] 알러지성 결막염 치료제 (0) | 2021.11.08 |
[비타민 E] 비타민 E의 효과/효능/부작용 및 주의사항은 무엇인가? (0) | 2020.05.08 |
[비타민 D] 비타민 D의 효과/효능/부작용 및 주의사항은 무엇인가? (0) | 2020.05.06 |
[비타민 C] 비타민 C의 효과/효능/부작용 및 주의사항은 무엇인가? (0) | 2020.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