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정보

[유니메론 점안액] 광범위 눈염증 치료제

성질블로그 2021. 11. 9. 07:00
반응형

 

광범위 눈염증 치료제인 유니메론 점안액에 대해 알아보자.

▶ 원료약품 및 그 분량 --> 1mL 중

유효성분 : 플루오로메톨론(USP) --> 1mg / 테트라히드로졸린염산염(KP) --> 0.25mg

보존제 : 벤잘코늄염화물액(10%)(KP) --> 0.5mg

점조제 : 포비돈 K25

안정제 : 에데트산나트륨수화물, 폴리소르베이트80

등장화제 : 염화나트륨

완충제 : 붕산, 붕사

용제 : 주사용수

 

▶ 상태

무색투명한 병에 든 무색 내지 미황색의 현탁액

 

▶ 효능/효과

① 심한 부종과 충혈이 있는 급성 비감염성 결막염/알레르기성 각막염

② 전안부의 비감연성 염증 (전포도막염, 상공막염, 공막염)

③ 사시절개술 / 백내장 / 녹내장 수술 후 염증

 

▶ 용법/용량

1회 1방울 1일 2~3회 결막낭 내에 점안한다. 성인의 경우 처음 24~48시간 동안은 1시간마다 1방울씩 점안할 수 있다.

 

▶ 사용상의 주의사항

1) 다음 사람에게는 사용하지 말 것.

  ① 이 약 성분에 과민증 환자.

  ② 임부, 수유부

  ③ 감염성 각막염 / 결막염 환자

  ④ 녹내장 환자

  ⑤ 건성안 환자 (특히 쇼그렌 증후군 환자)

  ⑥ 각막손상 및 각막궤양, 단순포진성 바이러스 및 기타 바이러스 감염, 세균감염, 진균감염 환자

  ⑦ 2세 이하의 영아

 

2)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① 관상동맥심질환, 고혈암, 크롬친화세포종 등 중증의 혈액순환장애 환자

  ② 갑상선 기능항진증, 당뇨병 등 대사성 장애 환자

  ③ MAO억제제 또는 고혈압 유발 가능성이 있는 약물을 투여 중인 환자

  ④ 백내장, 단순포진 감염의 병력이 있는 환자

  ⑤ 건조성 비염 환자

  ⑥ 유/소아

 

 

3) 부작용

  ① 적용직후 잠깐 동안 치료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완화한 자극증상이 나날 수 있다.

  ② 장기간 사용할 때 안압상승이 유발될 수 있으므로 정기적으로 안압검사를 실시한다.

  ③ 장기간 사용할 때 반응성 충혈이 유발될 수 있다.

  ④ 안검 습진 형태의 알레르기 반응, 점상 각막염, 눈 주위의 피부염이 드물게 보고되었다.

  ⑤ 부신피질호르몬제 장기투여에 따른 백내장 및 각막결손이 유발될 수 있다.

  ⑥ 안구조직에 진균에 의한 2차 감염이 일어날 수 있다. (특히 진균감염증, 단순 포진성 감염증)

  ⑦ 상처치유의 지연, 산동, 아주 드물게 건선, 안구돌출, 영양성 각막손상이 1주일간의 치료 후에 나타날 수 있다.

  ⑧ 후낭하 백내장, 각막의 박막화, 안구천공이 일어날 수 있다.

  ⑨ 장기간 사용할 때 (특히 소앙의 경우) 두통 및 불면 같은 전신적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4) 일반적 주의

  ① 치료 중에는 소프트콘택트렌즈의 착용을 피한다.

  ② 장기간 사용하지 않는다.

  ③ 2~3일 이상 장기투여시 안압, 전신 부작용과 관련된 2차 감염 검사를 정기적으로 실시한다.

  ④ 지속적인 각막궤양이 있는 경우 진균감염을 의심한다.

  ⑤ 이 약은 눈의 감염증을 은폐, 활성화 또는 악화시킬 수 있고 이약에 대한 과민반응을 은폐할 수 있다.

  ⑥ 점안시 일시적인 시력불선명이 생길 수 있으므로 시야가 선명해 질 때까지 운전이나 위험한 기계조작을 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⑦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의 전신적 이상반응은 어린이 및 CYP3A4 저해제(리토나비르 또는 코비시스타트 포함) 치료를 받은 환자와 같이 취약한 환자가 안과용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집중치료 또는 장기치료를 받은 후에 발생할 수 있다.

 

5) 상호작용

  ① 이 약은 혈관 수축작용을 통해 혈압을 상승시키는 MAO저해제 또는 삼환계 항우울약과 병용 투여하지 않는다.

  ② CYP3A4 저해제 (리토나비르 또는 코비시스타트 포함)와 병용 투여시 전신 노출이 증가되어, 전신적 이상 반응 발생 위험이 증가 할 수 있다. 치료상의 유익성이 전신 코프티코스테로이드 이상반응 발생의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병용 투여하며, 환자의 전신 코르타코스테로이드 영향을 살펴야한다.

 

6) 소아에 대한 투여

유/소아에 대한 안전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며 전신적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신중히 투여한다.

 

 

7) 과량투여시의 처치

국소적용으로 인한 과량투여결과는 알려진 바 없다. 테트라히드로졸린의 급성 과량투여는 산동, 청색증, 고온, 심장애, 중추신경 기능 억제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만약 경구투여시 약용탄, 위세척, 산소를 이용한 인공호흡, 고혈압약인 펜톨라민 5mg을 생리식염수에 넣어 정맥 주사하고 필요시 해열제와 항경련제를 투여한다.

 

8) 적용상의 주의

  ① 현탁액이므로 사용전 잘 흔든다.

  ② 점안용으로만 사용한다.

  ③ 점안시 용기의 입구가 직접 눈에 닿지 않도록 주의한다.

  ④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도리 수 있는 한 공동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9) 저장상의 주의 사항

  ① 소상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한다.

  ② 직사일광을 피하고 되도록 (습기가 적은) 서늘한 곳에 (밀전하여) 보관한다.

  ③ 오용을 막고 품질의 보존을 위하여 다른 용기에 바꾸어 넣지 않는다.

 

 

▶ 저장방법

기밀용기, 상온(15℃~25℃) 보관

 

▶ 포장단위

5mL/병

 

그럼 이만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