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정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토종견, 천연기념물 진돗개에 대해 알아보자 !!!

성질블로그 2021. 11. 3. 06:00
반응형

 

요즘 반려견들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강아지 (반려견)들을 키우는 집들이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그냥 TV에서 보고, 주변에서 보고 그저 귀엽다고만 생각해서 반려견들의 특성도 모른채 무작정 키우려고 드는 사람들이 있다.


이렇게 강아지들이 귀엽다고만 해서 키우다가 어딘가 이상이 생겨 아프거나 나이가 들었다는 이유 또는 이제는 키우기 귀찮다는 이유로 길거리에 버려버리는 사람들도 많이 생겨나고 있다.
우선 반려견들을 키울려면 자신이 키우려는 반려견들의 특징과 장/단점을 미리 공부하고 키웠으면 하는 바램이다.
여러 종류의 반려견들이 있지만 그 중에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견종(개)인 진돗개에 대해 알아보자!!!


▶ 진돗개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견종인 진돗개는 천연기념물 53호이지만, 모든 진돗개가 천연기념물이 아니라 전남 진도군 내에서 심사를 받아 통과되면 진도개라는 이름으로 천연기념물로서 보호를 받게 된다.
표준어는 진돗개이지만 천연기념물 상에서는 진도개로 등록되어 있고, 진도군 내의 심사를 통과한 진돗개에 한해서 진도개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국가에서 직접 관리하는 품종으로 진도개 사업소를 운영하며, 심사에 통과된 진도개들의 혈액샘플이 보관된다.

 


▶ 진돗개의 유래
진돗개가 계획적인 육종을 거치지 않은 자연견종이라는 점에 이이를 재기하는 사람들은 없지만, 조상에 관해서는 몇가지 가설이 존재한다.

① 북방민족인 선비족이 전쟁할 때 데리고 다닌 군견 암캐가 늑대와 교배하면서 태어났다는 설
② 송나라와 외교 및 무역이 활발하던 시기에 도입되었다는 송나라 유입설
③ 몽골제국의 기병대들이 정복전쟁을 다닐 때 데리고 다닌 군견이 진돗개였는데 몽골제국이 고려와 전쟁을 할 때 같이 들어오게 되었다는 몽골제국 군견 유입설

위와 같이 여러가지 가설이 있지만 가장 유력한 가설로는 몽골제국의 군견으로서 고려와 전쟁 때 들어온 개가 진돗개가 되었다는 설이다.
진돗개가 알려진 계기는 아이러니하게도 일제시대인 1938년 조선총독부가 천연기념물로 지정을 했다는 점이다.

▶ 진돗개의 특징
진돗개는 한국의 대표적인 견종이다.
주요 특징으로는 얼굴은 정면에서 보면 거의 팔각형을 이루고, 눈은 붉고 둥근듯하며 눈꼬리는 약간 치켜올라가 귀밑 선상에 맞아야한다.
귀는 앞으로 약간 경사져 곧게 선다. 목은 굵어서 힘이 있고 다부지게 보인다.
등은 좌골뼈에서부터 약간의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등털은 중장모로써 힘이 있다.
다리는 강건하고 앞다리와 뒷다리는 모두 자연스럽게 똑바로 곧게 선다.
꼬리는 항문에서부터 수직으로 위쪽으로 7cm 이상 올라갔고 좌 또는 우로 똑바로 말리거나 서거나 한다.
1년에 새끼는 2회 낳을 수 있고, 임신기간은 58 ~ 63일만에 3~8마리를 낳는다.
귀소본능이 강하기 때문에 주변 위치와 환경 파악이 빠르며, 한국의 대표적인 사냥개로 용맹하고 충성심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입양한 주인에게만 충성을 맹세하는 점 때문에 성견이 된 이후에 입양을 하면 잘 통제가 되지않는 문제점들이 있다. 잘못된 통제로 인해 사람들에게 사고를 일으키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 진돗개의 종류

① 백구

연한 황백색이며, 양쪽 귀와 뒷다리 부분, 꼬리나 등줄기 부분이 황백색이다.

② 황구

몸의 털 대부분이 황색이다. 어릴 때는 재구처럼 재색이었다가 커갈수록 황색에 가깝게 된다.

③ 흑구

몸의 털 대부분이 검은색 털로 덮여있는 진돗개.

④ 네눈박이

검은 바탕의 털에 눈위에 밝은 반점이 있어 눈이 4개인 것처럼 보여 네눈박이로 불린다.
이러한 무늬를 블랙탄이라고 부른다.

⑤ 재구

회색털이 명암을 달리하며 몸 전체에 퍼져있으며, 늑대의 털색과 매우 비슷해 늑대색이라는 별명도 가지고 있다.

⑥ 호구

호랑이와 엇비슷한 검은색 점박이 무늬를 가지고 있는게 특징이다.



▶ 진돗개의 현재상태
한국인들이 진돗개에 대한 자부심을 가지는 것과 별개로 현재 많은 애견인들이 있지만 정작 진돗개는 많이 키우지 않고 있다.
진돗개는 중형견이기 때문에 요즘과 같은 주거형태 특히, 아파트에서는 키우기가 힘들기 때문일 것이다.
주인에게는 온순한 편이지만 자기보다 약하다고 판단되는 어린이나 노약자들 또는 얼굴을 본 적없는 외지인에게는 공격적인 성향을 띄는 일이 있다.
용맹한 견종인 진돗개이지만, 일부 몰지각한 주인들 때문에 인식이 나빠지고 있는 것 같다.
진돗개의 호전성을 즐기는 부류가 있어서 도사견이나 핏불 등을 풀어 키우면서 어깨에 힘을 주며 민폐를 끼치는 놈들이 있는데 이런 놈들이 진돗개의 위상을 실추시키고 있는 점도 있다.

대한민국의 대표 견종이자 천연기념물인 진돗개 !!!
이 땅에서 우리와 함께한 진돗개의 위상을 떨어뜨리지 말고 자신이 한번 선택한 애완견은 애정을 가지고 끝까지 책임을 져야 할 것이다.

그럼 이만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