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를 버릴려고 하다보면 일반 분리수거 및 큰 전자제품 등은 어떻게 버려야할지 잘 알고 있지만 작은 전자제품들은 어떻게 버려야할지 잘 모르시는 것 같아 저도 한 번 찾아봤습니다.
일반적인 품목부터 차근차근 소개 드리겠습니다.
(1) 종이류 (신문지, 전단지, 종이박스, 책 등)
※ 물기에 젖지 않게 묶어서 or 박스에 담아서 배출
→ 비닐 코팅된 전단지등 제외
→ 비닐 코팅된 책 표지, 노트의 스프링은 제거
→ 사용한 휴지나 1회용 기저귀 등은 종량제 봉투에 담아 배출
(2) 종이팩류 (음료수, 우유팩 등)
※ 내용물을 비우고 물로 헹군 뒤 부피가 작게 접어서 배출
(분리 배출이 안될 시 다른 재활용품과 함께 배출)
(3) 플라스틱류
※ 페트병, 플라스틱 용기류
→ 뚜껑은 제거 후 내용물을 비우고 배출
※ 스티로폼
→ 이물질(테이프, 종이 등)을 제거한 후 배출
(4) 유리병류 (도자기 종류 X)
→ 병뚜껑을 제거 후 내용물을 비우고 배출
→ 소주병, 맥주병 등은 상점에 팔아서 보증금 환급받으면 됨
(5) 캔, 고철류
※ 철, 알루미늄 캔
→ 내용물을 비우고 플라스틱 뚜껑이 있는 경우 분리 배출
(우산의 경우 철은 고철로 나머지는 분류하여 종량제 봉투에 배출)
※ 부탄가스, 스프레이 용기 등
→ 구멍을 뚫어 내용물을 비운 뒤 배출
※ 공구, 철사, 못, 전선 등
→ 투명 비닐봉투에 넣어 배출
(6) 비닐류
※ 과자, 라면봉지, 비닐봉투 등
→ 투명 비닐에 넣은 후 배출
→ 이물질이 묻은 경우 씻어서 배출하고 오염된 비닐은 종량제 봉투에 넣어 배출
(7) 형광등
→ 깨지지 않게 주민센터, 아파트나 주택 골목 등의 폐형광등 전용 수거함에 배출
→ 깨진 형광등이나 백열전구는 일반 종량제 봉투에 배출
(8) 배터리 (건전지, 충전지 등)
→ 전용수거함에 배출
(9) 섬유류
→ 의류 및 이불(솜이 없는) 등은 의류수거함에 배출하고 솜이 들어 있는 이불은 종량제 봉투에 넣어서 배출
(10) 폐가전제품, 전자제품
→ 세탁기, 에어컨, 냉장고, TV 등 대형 가전은 무상방문수거 서비스 이용 (콜센터 : 1599 - 0903)
→ 1m 이하의 소형 가전은 5가지가 넘어야 수거 예약을 할 수 있습니다.
→ 1m 이하의 소형 가전은 동주민센터나 아파트 내에 비치된 전용 수거함에 배출
※ 추가적으로 의약품은 약국에 비치된 의약품 분리수거함에 배출하셔야 합니다.
약품 속의 항생물질 성분이 하천과 토양을 오염시킬 수도 있습니다.
그럼 이상으로 분리수거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봤습니다~
'기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휴수당의 조건, 대상, 계산방법 및 처벌 (0) | 2018.09.20 |
---|---|
[삼성카드 결제일] 삼성카드 결제일별 이용기간 알아보기 (2) | 2018.09.17 |
추석/한가위의 뜻, 의미,음식,놀이 (0) | 2018.09.11 |
판빙빙 실종,장웨이제 실종 사건 및 인체 표본 재조명 이유 (0) | 2018.09.08 |
2018 경복궁 야간개장 티켓 예매 무료입장 (0) | 2018.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