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정보

분리수거 제대로 하자

성질블로그 2018. 9. 2. 14:08
반응형

쓰레기를 버릴려고 하다보면 일반 분리수거 및 큰 전자제품 등은 어떻게 버려야할지 잘 알고 있지만 작은 전자제품들은 어떻게 버려야할지 잘 모르시는 것 같아 저도 한 번 찾아봤습니다.


일반적인 품목부터 차근차근 소개 드리겠습니다.



(1) 종이류 (신문지, 전단지, 종이박스, 책 등)

※ 물기에 젖지 않게 묶어서 or 박스에 담아서 배출

   → 비닐 코팅된 전단지등 제외

   → 비닐 코팅된 책 표지, 노트의 스프링은 제거

   → 사용한 휴지나 1회용 기저귀 등은 종량제 봉투에 담아 배출



(2) 종이팩류 (음료수, 우유팩 등)

※ 내용물을 비우고 물로 헹군 뒤 부피가 작게 접어서 배출

   (분리 배출이 안될 시 다른 재활용품과 함께 배출)



(3) 플라스틱류

※ 페트병, 플라스틱 용기류

   → 뚜껑은 제거 후 내용물을 비우고 배출



※ 스티로폼

   → 이물질(테이프, 종이 등)을 제거한 후 배출



(4) 유리병류 (도자기 종류 X)

   → 병뚜껑을 제거 후 내용물을 비우고 배출

   → 소주병, 맥주병 등은 상점에 팔아서 보증금 환급받으면 됨



(5) 캔, 고철류

※ 철, 알루미늄 캔

   → 내용물을 비우고 플라스틱 뚜껑이 있는 경우 분리 배출 

      (우산의 경우 철은 고철로 나머지는 분류하여 종량제 봉투에 배출)


※ 부탄가스, 스프레이 용기 등

   → 구멍을 뚫어 내용물을 비운 뒤 배출


※ 공구, 철사, 못, 전선 등

   → 투명 비닐봉투에 넣어 배출


(6) 비닐류

※ 과자, 라면봉지, 비닐봉투 등

   → 투명 비닐에 넣은 후 배출

   → 이물질이 묻은 경우 씻어서 배출하고 오염된 비닐은 종량제 봉투에 넣어 배출


(7) 형광등

   → 깨지지 않게 주민센터, 아파트나 주택 골목 등의 폐형광등 전용 수거함에 배출

   → 깨진 형광등이나 백열전구는 일반 종량제 봉투에 배출


(8) 배터리 (건전지, 충전지 등)

   → 전용수거함에 배출


(9) 섬유류

   → 의류 및 이불(솜이 없는) 등은 의류수거함에 배출하고 솜이 들어 있는 이불은 종량제 봉투에 넣어서 배출


(10) 폐가전제품, 전자제품

   → 세탁기, 에어컨, 냉장고, TV 등 대형 가전은 무상방문수거 서비스 이용 (콜센터 : 1599 - 0903)

   → 1m 이하의 소형 가전은 5가지가 넘어야 수거 예약을 할 수 있습니다.

   → 1m 이하의 소형 가전은 동주민센터나 아파트 내에 비치된 전용 수거함에 배출


※ 추가적으로 의약품은 약국에 비치된 의약품 분리수거함에 배출하셔야 합니다.

   약품 속의 항생물질 성분이 하천과 토양을 오염시킬 수도 있습니다.


그럼 이상으로 분리수거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봤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