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정보

[건선 치료연고] 다이보베트 사용상 주의사항

성질블로그 2018. 10. 18. 23:13
반응형

건선 치료를 위해 병원을 가면 항상 처방해주는 다이보베트 연고에 대해서 알아보자.


약품명 : 다이보베트 연고 (Daivobet ointment)

제조 업체명 : 레오파마

약품 성분 : 베타메타손디프로피오네이트 (0.643㎎/g, 칼시포트리올 52.2㎍/g)

저장방법 : 기밀용기, 실온(1℃ ~ 25℃) 보관

효능효과 : 판상형 건선의 국소치료

사용법 및 용량 : 1일 1회 환부에 적당량을 도포한다. 권장치료기간은 4주이며, 이 기간 후에는 의사의 감독하에 반복적으로 치료를 시작할 수 있다. 최대투여량은 1일 15g이며, 1주당 100g을 초과하지 않는다. 체표면적은 30%를 초과해서는 안된다.



※ 사용상 주의사항

▶ 투여를 금지해야할 환자

  1) 이 약 및 이 약 성분에 과민반응 및 그 병력이 있는 환자

  2) 칼슘대사 장애 환자 (칼시포트리올 함유에 기인)

  3) 물방울모양 건선, 홍피성 건선, 박탈성 건선, 농포성 건선 환자

  4) 중증의 신기능부전 환자 및 중증의 간질환 환자

  5) 소아

  6) 안면이나 눈가

  7) 고막천공이 있는 습진성 외이도염 환자 (천공부위의 치유지연이 나타날 수 있다.)

  8) 코르티코스테로이드 함유로 인하여 다음의 경우 금기한다.

    ① 세균(피부결핵, 매독 등), 진균(칸디다증, 백선 등), 바이러스(대상포진, 단순포진, 수두, 종두증 등), 

        기생충(옴, 사면발이 등)성 피부감염증 환자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

    ② 상처 또는 점막부위

    ③ 궤양(베체트병 제외), 제2도 심재성 이상의 화상, 동상환자(피부재생이 억제되어 치유가 지연될 수 있다.)

    ④ 입주위 피부염, 보통여드름, 홍반성여드름, 

    ⑤ 항문, 생식기 가려움증 환자

    ⑥ 위축성 피부, 위축선, 취약한 피부정맥, 어린선



▶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 및 수유부

  2) 고령자

  3) 간기능장애 또는 당뇨환자(코르티코스테로이드가 혈당수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동물실험에서 이 약의 국소도포로 인해 기형발이 나타났다.

2) 코르티코스테로이드는 동물연구에서 생식독성(구개열, 골격불완전형성)을 보였다. 랫트에 장기 경구투여한 경우 임신 지연분만 지연 및 분만곤란이 관찰 되었다. 또한 차세대의 생존율과 체중의 감소 그리고 체중 증가가 관찰 되었다. 생식에는 장애는 없었다. 

3) 임부에 대하여 이 약의 사용에 대한 충분한 자료가 없다. 동물실험에서는 당질코르티코이드가 생식독성을 나타냈으나 300명 미만의 임산부를 대상으로 한 역학조사에는 임신 중 당질코르티코이드를 사용한 산모와 태어난 신생아 사이에 어떠한 선천적 이상이 발견되지 않았다. 사람에 대해 잠재적인 위험성은 확실히 밝혀진 바가 없고,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에는 치료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투여한다.

4) 베타메타손은 모유로 이행되지만 치료용량에서 영유아에 이상반응 위험이 있는지 명확하지 않다. 칼시포트리올이 모유로 분비되는 자료는 없다. 많은 약물이 유즙으로 분비되므로, 수유부에 투여시 주의한다.

5) 국소적으로 투여된 코르티코이드가 모유 중으로 이행되는지 여부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전신적으로 투여된 코르티코이드가 모유 중으로 이행되므로 수유부에 투여시 주의하고, 수유 중에는 가슴부위에 적용하지 않는다.



▶ 기타 주의 사항

1) 부스럼, 자통, 발열, 발적, 알레르기 접촉피부염, 땀띠, 욕창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사용을 중지하고 의사 또는 약사와 상담한다. 흔한 증상은 가려움, 발진, 작열감이고, 때때로 피부통증, 염증, 적용부위색소변화 및 드물게 농포건선이 나타날 수 있다. 칼시포트리올에 의해 습진, 광과민성이 나타날 수 있고, 매우 드물게 혈관부종 및 안면부종 등의 과민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 

2) 장기투여시 스테로이드성 여드름, 스테로이드성 피부(피부위축, 모세혈관확장, 자반), 스테로이드성 주사, 입주위피부염(입주위, 안면전체에 홍반, 구진, 모세혈관확장, 딱지, 인설), 어린선양 피부변화, 다모, 색소탈실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경우에는 천천히 사용량을 줄여 코르티코이드를 함유하지 않은 약으로 바꾸어 사용한다. 국소 감염시 방어체계의 감퇴로 인하여 2차감염 발생이 증가할 수 있다. 

3)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국소 및 전신적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이상반응 위험이 증가된다.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의 장기사용과 관련된 이상반응이 발생할 경우에는 치료를 중지한다.


건선 치료에 자주 사용되는 연고인 다이보베트스테로이드가 함유되어 있어 장기적으로 사용하는 것과 임산부나 수유중인 여성들에게는 좋지않다는게 일반적인 상식이다.

의사가 처방을 할 때, 약 사용에 대한 주의 사항을 잘 듣고 상황에 맞추어 과하지 않게 적절히 사용해야할 것이다.


그럼 이만 ~~~



반응형